2시간의 의미. 상대적인 능력
2시간의 의미. 상대적인 능력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능력이 다른 것은 사실이다.
상대방이 가진 능력을 보고 놀랄 때도 있지만
반대로 저것밖에 하지 못하는가? 라고 비교를 하게 될때도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 20대 초반에 상당히 크게 깨달은 바가 있다.
결코 그 사람은 내가 아니고,
나 역시도 그 사람이 아니기에
그 사람이 나와 같이 해내길 바라는 것이
엄청나게 모순이며 불가능하다는 것을 크게 깨달은 때가 있었다.
하나님께서 나에게 주신 가장 큰 선물이
체력과 습득능력인 것 같다.
내 스스로도 배움에 있어서 빠른 사람이란 걸 잘 안다.
나는 오늘의 이 2시간의 의미 짧은 글을 읽으면서
너무나도 당연한걸.. 저렇게 생각하는 일반적인 사람들 의견에 많이 놀랬다.
같은 일을 하게 되더라도 속도 차이는 당연할 뿐더러...
가진 역량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 당연지사인데...
그걸 불공평하게 생각한다는 것이 나로써는 많이 놀라웠다.
다른 사람들은 왜 불평을 했을까?
본인이 그 뛰어난 사람처럼 되어야 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을까?
최근 시대적 변화에 따라 재택근무, 탄력근무가 상당히 많이 적용되고있다.
어쩌면 9 to 5/6 근무체제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단순히 회사에.. 책상에.. 오래 머문다고 해서 꼭 그 사람이 더 성과를 낸다고 보장할 수 없다.
2시간의 의미가 그렇다.
누군가는 그냥 10시간을 마냥 일을 한다지만..
누군가에게 2시간으로 그 일을 다 마무리를 했다면..
당연히 차별을 두어야 하는게 아닐까?
너무 이기적일지도 모르지만.. 그리해야지 옳은게 아닐까 싶다..